코로나 19(COVID 19) 확산을 사전에 막기 위해 애리조나대학(Arizona University)이 기숙사 폐수(똥·오즘)를 검사하고 있다. 현재 몇몇 국가와 미국 내 일부 대학은 폐수에서 SARS-CoV-2의 RNA를 조사하고 있다. 실제로 지난 8월 애리조나대학은 코로나 19 검사에서 음성인 학생들만 기숙사에 입주시켰다. 그런데 기숙사에 들어온 지 며칠 만에 폐수에서 코로나 바이러스 RNA가 발견됐다. 대학은 기숙사 거주자...
 40대 이상은 어린 시절 고드름을 가지고 놀거나 아이스 캔디처럼 빨아 먹은 적이 있는 사람도 있다. 그런 고드름을 먹는 행위는 “조류 배설물(새똥)은 것”이라고 미국 기후학자가 영상을 통해 경고했다.미국 캔자스주에 사는 기후학자인 카티 닉클라우(Katie Nickolaou)가 틱톡(TikTok)과 트위터(Twitter)에 공개한 영상이 수백만 회 이상 조회수를 기록하고 있다.고드름이 생기는 과정은 지붕에서 녹은 물이 흘러...
 일본 게이오 대학과 도쿄 대학의 엔지니어가 마치 영화 스파이더맨에 나오는 닥터 옥토퍼스(Doctor Octopus)와 비슷한 로봇 팔을 개발했다.프로젝트 퓨전(Project Fusion)으로 불리는 텔레프레즌스 로봇(Telepresence robots)은 마치 아이들 장난감처럼 보이지만 전문가들은 그 활용도에 주목하고 있다. 텔레프레즌스 로봇이란 참가자들이 실제로 같은 방에 있는 것처럼 느낄 수 있는 VR(가상현실) 시스템으로 실제로 상대방과 마주하고 있는...
'Hacker Dojo’ 마운틴 뷰에 위치한 소액의 회비와 이 지역 창업가들의 기부에 의해 돌아가는 '해커들의 도장(코워킹 스페이스)'이다. 이곳에서 우리는 3명의 멋진 기업가들을 인터뷰할 수 있었는데 이중 타냐 트로시냐는 이곳에 입주한 사람들이 모두 입 모아 추천하는 기업가였다. (인터뷰 끝난 후에 파트너 이혁씨로부터 들은 이야기이다.) 처음 만났을 때, 그녀는 조용하고 살짝 딱딱하게...
 구글이 투자한 멀린랩스(Merlin Labs)가 55대 킹에어(55-craft King Air) 자율비행 기술을 27일(현지시각) 공개했다.멀린랩스 창업한 매튜 조지(Matt George)는 조종사로 일하면서 얻은 영감으로 2년 반 전에 자율비행 회사를 설립했다. 현재 이 회사는 킹 에어라인(King Airlines) 중 가장 많은 민간 항공기를 소유한 다이내믹 에비에이션(Dynamic Aviation)과 공식 협약을 맺고 있다.멀린랩스는 퍼스트 라운드 캐피탈(First Round...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VCnT-qWTE84]  신발을 신고 시속 40㎞ 속도로 달리는 생체공학 신발 '바이오닉 부츠(Bionic boots)'가 나타났다.유튜브 소개된 동영상에는 한 남성이 거친 도로와 산악 지형도 자유롭게 달리는 모습이다.바이오닉 부츠를 연구 개발한 사람은 미국 샌프란시스코 출신 ‘카호헤 시모어’다. 그동안 12개에 달하는 바이오닉 부츠 시제품을 완성해냈다. 이 바이오닉 부츠는 지난 10월 뉴욕에서 열린 ‘2014 메이커...
 의료 로봇 개발은 최근 눈부신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2017년에는 외과 의사보다 10배 이상의 정밀도로 눈 수술이 가능한 로봇이 등장했다. 하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인간이 조작하는 로봇 손일 뿐이다.하지만 이번에는 수술 영상을 보고 학습해 인간 외과 의사처럼 스스로  수술이 가능한 로봇손이 개발됐다.‘모션 2벡(Motion 2Vec)'이라 불리는 외과 수술용 로봇 손은 구글 브레인(Google...
[youtube http://www.youtube.com/watch?v=YFHyG1IOsgE]스마트폰과 음성 인식 기술을 활용한 작곡 애플리케이션이 나왔다. 삼성전자 C랩 '뮤직크로키' 팀이 개발한 '험온(Hum On)!'이다. 험온은 음악 이론을 전혀 모르는 이도 한두 번만 써보면 누구나 어엿한 악보를 완성해낼 수 있다는 것이다. 악기 연주 못해도, 악보조차 못 읽어도 흥얼거리기만 해도 작곡 가능하다는 얘기다.험온을 사용하면 전문적 작곡 지식이 없는 사람도 곡...
 스마트폰 없이 GPS 위치정보 공유 및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한 오픈 소스 소프트웨어 ‘메쉬타스틱(Meshtastic)’이 등장했다.‘메쉬타스틱’을 탑재한 약 20~30달러(약 2~3만원) 정도 마이크로 컴퓨터로 등산이나 스키 등 야외 활동 시 스마트폰을 사용할 수없는 장소에서 GPS를 이용한 위치 정보의 공유와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장치다. 이는 이동통신망 없이도 GPS 무선통신 기술을 확장해 수 킬로미터(Km)...
 바퀴벌레처럼 뛰어난 내구성과 이동성을 모방한 평면 로봇이 개발됐다.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University of California, Berkeley) 연구팀이 개발한 우표 크기만 한 평면 로봇은 폴리 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라 불리는 압전 성질을 가진 얇은 시트로 만들어졌다. 압전 재료는 전압이 걸리면 재료가 팽창 또는 수축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로봇 전체에 탄성 폴리머로 코팅해 전압이 걸리면 시트 전체가 팽창...
NASA(나사)가 화성 탐사 로버 ‘큐리오 시티’가 4일 동안 촬영한 1,200장의 사진에서 만든 18억 픽셀의 파노라마 사진을 3월 4일 공개했다 .2019년 11월 24일부터 12월 1일 사이에 촬영된 18억 픽셀이라는 사상 최고 해상도의 사진을 공개해 화성을 세세한 부분까지 볼 수 있다.이 파노라마는 큐리오시티가 탐사하고 있는 샤프산 옆 지역인 글렌 토리돈(Glen Torridon)을...
아마존 인공지능(AI) 도우미 알렉사(Alexa) 음성인식 기능을 사용해 드론을 조종하는 소프트웨어가 등장했다. 깃허브(GitHub)에 공개된 드론 음성명령 제어 소프트웨어 '드렉사(Drexa)'는 블루투스를 지원하는 패럿(Parrot) 사의 카고(Cargo) 시리즈와 맘보(Mambo 시리즈) 등 미니 드론과 AWS(아마존 웹 서비스)를 연결하기 위한 라즈베리 파이(Raspberry Pi)가 필요하다. 드렉사(Drexa)를 활용하면 "이륙" "착륙" "시계 방향 / 반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 "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