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와 구글이 최근 광범위한 사업/기술 영역에서 ‘글로벌 특허 크로스 라이선스 계약(Cross-licensing Agreement)’을 체결했다. 이번 계약으로 양사는 기존 특허는 물론 향후 10년간(2023년까지) 출원하는 특허까지 포괄적으로 공유한다. 양사는 이번 협력을 계기로 글로벌 시장 경쟁력을 지속 강화하고 미래사업준비도 보다 탄력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LG전자 특허센터장 이정환 부사장은 “혁신...
다음카카오의 투자전문 자회사 케이벤처그룹이 자동차 외장수리 견적 앱 ‘카닥(Cardoc)’을 서비스 중인 주식회사 카닥의 지분 53.7%를 인수한다고 4일 밝혔다. 카닥은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자동차 수리 업체들과 이용자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며 누적 거래액 100억원을 기록하고 있다. 케이벤처그룹은 인수 이후 카닥의 독립적·자율적인 경영을 지원하고, 자동차 애프터마켓 부문에서 카닥이 보유한 노하우를 다음카카오의 역량를 결합해 O2O...
① 소스 커스텀(Source Custom) 방식 기반 사례세월호의 참사로, 요즘 각종 언론과 뉴스, 그리고 토론회의 화두는 국가 안전 시스템 붕괴와 이에 대한 국민적 회의감이다. 선장과 선원 그리고 선주의 잘못은 말할 것도 없고, 사고 방지 체계의 허술함과 사고에 긴급하게 대처하지 못한 국가 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관료의 책임론이...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과학창의재단이 소프트웨어(SW)교육 시범학교 72개를 선정했다.소프트웨어(SW)교육 시범학교는 지난 7월 23일부터 8월 12일까지 한국과학창의재단 홈페이지(www.kofac.re.kr)를 통해 전국 모든 초·중학교를 대상으로 공모했고, 접수된 총 148개교를 대상으로 선정심사를 진행했다.소프트웨어(SW)교육 시범학교는 학생들의 소프트웨어(SW)교육에 대한 흥미와 관심 제고, 컴퓨팅 사고력과 같은 문제해결력 향상에 중점을 두고, 알고리즘 원리·프로그래밍 활용·언플러그드 활동 등 학생 중심의 다양한...
미래창조과학부와 행정자치부가 2015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수요예보 조사결과 2015년 공공부문 SW·ICT장비 사업규모는 3조 8,125억원으로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원장 이창재)이 우리나라의 대표 나무인 소나무와 유럽이 원산지인 구주소나무를 식별할 수 있는 DNA 분석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이번에 개발된 기술은 구분이 어려운 소나무(Pinus densiflora)와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의 고유한 DNA의 차이점을 식별 기준으로 이용하기 때문에 객관적이고 정확도가 매우 높다. 국내 특허등록이 완료된 이 기술을 활용하면 소나무 목재보다 가격이 저렴한 구주소나무 목재를 소나무 목재로...
한국과 미국 공동연구진이 기존 대비 최소 10배에서 최대 100배 큰 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대용량 다차원 텐서 분석 시스템을 개발했다. 텐서: 3차원 이상의 고차원 배열. 예로 (주어, 동사, 목적어)를 포함하는 지식 베이스 데이터는 3차원 배열이며 (발신 IP, 수신 IP, 시간, 포트)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트래픽 데이터는 4차원...
반도체 시장 조사기관인 미국 IHS Technology는 우리나라가 메모리 시장 강세와 모바일 반도체 경쟁력 강화 등에 힘입어 2013년 사상 최초로 일본을 제치고 미국에 이어 세계시장 점유율 2위에 올랐다고 발표했다.이번에 발표된 최종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시장 점유율은 지난 1.21(화) 발표한 잠정치보다 더 높게 나왔다.전체 점유율 16.2% 중 시스템반도체 5.8%, 광개별...
의료 인공지능(AI) 업체 루닛(대표이사 서범석)은 자체 개발한 유방암 진단 보조 소프트웨어가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의료기기 3등급)를 받았다고 31일 밝혔다. 해당 제품은 ‘루닛 인사이트 MMG’로 29일 식약처로부터 국내 판매 허가(인허가 제품명 Lunit INSIGHT for Mammography)를 받았다. 루닛 인사이트 MMG는 루닛과 연세대학교 세브란스병원, 서울아산병원, 삼성서울병원이 공동 개발한 제품이다.루닛 인사이트 MMG는 인공지능기술을 기반으로 설계된 유방촬영영상...
LG전자가 올 2분기 공개 예정인 첫 스마트워치 'LG G 워치(LG G Watch)' 사진을 추가 공개했다. ‘LG G워치’는 ‘넥서스4’, ‘넥서스5’, ‘LG G 패드 8.3 구글 플레이 에디션’에 이은 LG전자와 구글의 4번째 제품으로 웨어러블 기기용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 웨어′가 탑재됐다.
LG전자가 ‘특별한’ 전기가 필요 없는 태양광 냉장고로 아프리카·남미 지역 난민 돕기에 적극 나섰다. 이는 기업이 ‘적정기술’을 활용한 좋은 사례이다.적정기술(適正技術, appropriate technology, AT)이란 소외된 이들을 위해 사회를 바꾸는 기술을 말한다. 위키백과는 “한 공동체의 문화·정치·환경적인 면들을 고려하여 만들어진 기술을 말한다. 최소의 자원을 사용하며, 유지하기 더 쉽고, 환경에 더 적은 영향을 미치는 기술”이라고...
유럽연합의 범죄대책기구 유로폴(Europol)과 민간기업들이 공조해 지난 5년간 총 320만대 이상의 컴퓨터를 감염시킨 악성코드 램니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