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소스 커스텀(Source Custom) 방식 기반 사례세월호의 참사로, 요즘 각종 언론과 뉴스, 그리고 토론회의 화두는 국가 안전 시스템 붕괴와 이에 대한 국민적 회의감이다. 선장과 선원 그리고 선주의 잘못은 말할 것도 없고, 사고 방지 체계의 허술함과 사고에 긴급하게 대처하지 못한 국가 시스템, 그리고 그 시스템의 바탕을 이루고 있는 관료의 책임론이...
ZTD (Zen To Done) 는 서태평양에 있는 미국의 해외영토인 Guam이라는 섬에서 여섯 아이와 아내와 같이 살아가고 있는 채식주의자 겸 작가이며 독특한 생각을 지닌 블로거인 Leo Babauta가 발명한 궁극적인 단순 생산성 시스템이다. 지난 시간엔 GTD를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단순한 생산성 시스템인 ZTD(Zen To Done) 의 기본 개념 및 핵심적인 주장과 함께 ‘ZTD의 10가지 습관’...
성장세가 다소 둔화되는 추세인 스마트폰 시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스마트워치가 부각되면서 애플, 구글, 삼성 등의 스마트폰 주력 업체들이 다시 새로운 분야에서 각축을 벌이고 있다.물론 이들 중 애플의 아이워치는 아직 그 실체를 완벽하게 드러내지 않았지만, 이미 올 하반기에 출시를 확정짓고 있어서 본격적인 무한 경쟁의 서막은 이미 시작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삼성은 최근...
가계부채 1,000조 시대, 가계부채 규모는 2013년 3/4분기 약 992조원을 기록하였고, 2013년 연말 1,000조원을 초과할 것으로 추산된다. 가처분소득 대비 가계부채 비중도 2004년 이후 증가세가 지속되어, 가계의 생계부담이 가중되고, 소비를 위축시키고 있다.가계부채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가운데, 가계부채의 부담은 중·고소득층보다 저소득층에게 집중되고 있다. 2013년 저소득층 금융대출가구의 채무상환비율은 56.6%로, 가처분소득 대비 원리금상환액...
편집자 주 :: 대한민국은 현재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넘쳐나고 있다. 인공지능(AI)이 유행하자 너도나도 인공지능 전문가를 자처하고, 빅데이터가 유행하자 너도나도 빅데이터 전문가를 자처한다. 그러나 전문가라는 명함을 내미는 사람은 많지만 정작 해당 분야의 지식과 깊은 통찰은 찾아보기 힘든 게 현실이다. 우리는 이를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 IT뉴스(IT News)는 '미래학자 넘치는 대한민국의 미래는?'을...
자동차는 단순한 이동수단이 아니다. 혹자는 우렁찬 엔진 소리를 들으며 에너지를 얻거나 음악을 듣고, 커피를 마시며 자기만의 소중한 공간을 제공해주는 감성의 집약체로 느낀다. 한 대의 공간을 만들기 위해 여러 기업이 협력한다. 내연기관 자동차에 들어가는 부품 수는 3만여 개다. 자동차는 범용 부품이 많아 여러 기업들이 상생하는 구조다. 제조사는 이들 기업의 원활하게 부품을...
현대인의 편리한 생활을 돕는 플라스틱은 지금 이 순간에도 제품은 점점 더 많이 그리고 더 빠르게 생산되고 있다. 하지만, 버려진 플라스틱은 썩지 않고 강이나 바다 속에서 미세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되어 해양 생태계를 오염시키고 있다. 우리가 즐겨 먹는 해산물과 바다거북, 심지어 바닷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해양 생물의 체내에서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발견되고 있다. 결과적으로...
정부가 인공지능(AI) 기술을 육성하기 위해 앞으로 5년간 총 3조5000억원 이상을 투자할 계획이다. 미래부는 국내 지능정보기술 관련 인적, 산업적 기반이 미약하고, 지능정보기술 전반에서 선진국 대비 격차가 있다고 판단하고 정부가 나서 집중 육성한다는 계획이다.그도 그럴 것이 지능정보기술 분야는 아직 전반을 지배하는 사업자가 없는 초기단계로, 아직은 기회는 열려있다고 판단, 기술력을 단기간에 세계...
인공지능(AI) 개발에 필수적인 기계학습에는 GPU, NPU, TPU 등의 프로세싱 칩이 사용된다, 하지만, 일반인은 각각의 차이점을 알기 쉽지 않다. 백블레이즈(Backblaze) 자료를 참조해 간략히 정리한다.CPU CPU는 'Central Processing Unit'의 약자로, PC에서 문서 작성, 로켓의 경로 계산, 은행 거래 처리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계 학습에 필요한 대량의 계산을 실행할 때...
음악(Music)은 소리 과학이다. 소리의 높낮이, 장단, 강약 등의 특성을 표현한 예술이다. 음악이란 용어는 라틴어 무시카(Musica)에서 유래했는데 무시카는 소리와 울림에 관한 기초과학을 의미한다. 음악은 정확하게 과학적 형식을 띠고 있으며 수학적 이론을 적용하고 있다. 중세 미학자 카시오도로스(Cassiodorus, c.480-575)는 “음악은 수를 다루는 과학이다. 또한, 음악은 상관된 소리들의 과학이며 그 소리들이 서로 일치하고 또...
고부가가치라고 불리고 있는 SW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가치 사슬’이 아닐까 생각한다.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가치 중에서도 제일 중요한 것이 ‘SW 그 자체의 가치’일 것이다. SW의 가치가 지속해 발전하고 진화하기 위한 전략적 산업 모형을, 필자가 계속 강조하고 있는 ‘SW의 완제품화’를 출발점으로 생각해보고자 한다.SW완제품 기술이 적용되어야, 진화형 제품/서비스(SaaS) 비즈니스 진가 발휘현재...
인공지능(AI)은 우리의 일하는 방식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또 인공 지능(AI)이 일자리를 빼앗을 가능성이 얼마나 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답은 없다.자연스러운 대화나 고급 문장 등을 생성할 수 있는 챗GPT, 단어 입력만으로 고품질 이미지를 생성하는 스테이블 디퓨전(Stable Diffusion), 미드저니(Midjourney) 등이 등장하면서 전체 직업의 80%가 이러한 생성형 AI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연구 결과(논문명: GPTs...